사출, 압출, 블로우, 진공 성형의 차이점과 금형 비용 및 샘플 제작 가능 여부
플라스틱 성형 방식은 제품의 용도와 생산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뉩니다. 특히 사출, 압출, 블로우, 진공 성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조 방식으로, 각 방식마다 적용 가능한 제품군과 금형 비용, 샘플 제작 가능 여부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네 가지 성형 방식의 원리와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사출 성형 (Injection Molding)
사출 성형은 플라스틱 원료(펠릿 형태)를 녹여 금형에 높은 압력으로 주입한 후, 냉각 및 경화시켜 제품을 형성하는 방식입니다.
금형사출은 아래 릴스 영상을 참고하면 더 이해가 쉽습니다!
https://www.instagram.com/reel/C-4HrEiv6s3/?utm_source=ig_web_copy_link&igsh=MzRlODBiNWFlZA==
🔹 특징
✅ 대량 생산에 적합: 한번 금형을 만들면 반복적으로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
✅ 정밀도 높음: 복잡한 형상과 정밀한 치수를 요구하는 제품 제조 가능
✅ 다양한 소재 적용 가능: PP, ABS, PE, PVC, PC 등 다양한 플라스틱 사용
🔹 활용 분야
🔹 전자 제품 케이스, 자동차 부품, 장난감, 생활용품, 의료기기 등
🔹 금형 비용 및 샘플 제작 가능 여부
💰 금형 비용:
- 고가 (500만 원 ~ 수천만 원 수준)
- 복잡한 형상일수록 비용 증가
- 보강재(금속 삽입물 포함 시) 사용 시 추가 비용 발생
🛠 샘플 제작 가능 여부:
- 금형 제작 없이 3D 프린팅, CNC 가공, 소량 사출(알루미늄 금형) 등의 방법으로 샘플 제작 가능
- 하지만, 최종 생산 방식과 동일한 품질 테스트를 위해서는 금형 제작이 필수
2. 압출 성형 (Extrusion Molding)
압출 성형은 가열한 플라스틱 원료를 연속적으로 일정한 형상(프로파일)으로 밀어내면서 성형하는 방식입니다.
압출은 이름에서 볼 수 있듯 좁은 틀을 통해 압력으로 뽑아내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으로 PVC파이프 등이 있습니다. 길이가 길고 모양이 일정한 제품을 만들 때 활용됩니다.
🔹 특징
✅ 긴 길이의 제품 생산에 적합
✅ 연속 생산이 가능해 단가 절감 효과 큼
✅ 단순한 형상에 유리 (복잡한 형상 제작은 어려움)
🔹 활용 분야
🔹 플라스틱 파이프, 창틀, 전선 피복, 필름, 시트, 바닥재, 튜브 등
🔹 금형 비용 및 샘플 제작 가능 여부
💰 금형 비용:
- 중저가 (500만 원 ~ 1,500만 원 수준)
- 단순한 형상의 금형일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
🛠 샘플 제작 가능 여부:
- 금형 없이 3D 프린팅 또는 CNC 가공으로 샘플 확인 가능
- 하지만 최종 제품의 물성 테스트를 위해 소규모 압출 금형 제작 필요
3. 블로우 성형 (Blow Molding)
블로우 성형은 공기를 불어넣어 제품을 부풀린 후 성형하는 방식으로, 주로 중공(속이 빈) 구조를 가진 제품 제작에 사용됩니다.
성형이 될 재료를 금형틀에 넣고 가열하여 말랑하게 만든 뒤 센 공기를 불어 넣어 원재료를 외곽으로 압착시키는 방식으로
주로 물병, 맥주병, 요구르트병 등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블로우 성형은 보통 저압법으로서 요구되는 강도와 내마모성은 중간정도이고, 싸이클 타임이 중요한 요소인 대량생산법입니다.
병을 생산할 때는 PVC를 많이 사용하므로 부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특징
✅ 속이 빈 제품 제작 가능
✅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 생산 가능
✅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단가 절감 효과 큼
🔹 활용 분야
🔹 페트병, 플라스틱 용기, 연료탱크, 드럼통, 의료용 컨테이너, 자동차 공기 덕트 등
🔹 금형 비용 및 샘플 제작 가능 여부
💰 금형 비용:
- 중간 수준 (1,000만 원 ~ 5,000만 원 수준)
- 병, 용기 등의 디자인 복잡성에 따라 비용 변동
🛠 샘플 제작 가능 여부:
- 금형 제작 전 3D 프린팅 또는 진공 성형 방식으로 샘플 가능
- 단, 블로우 성형 특성상 금형이 필요해야 최종 제품 품질 확인 가능
4. 진공 성형 (Vacuum Forming)
진공 성형은 열을 가해 부드럽게 만든 플라스틱 시트를 금형 위에 올려놓고 진공을 이용해 금형 형태로 밀착시켜 성형하는 방식입니다.
주 재료는 PP,PS입니다. 롤 같은 플라스틱 시트를 금형틀에 감싸 진공펌프로 흡입시켜 찍어내는 방법입니다.
얇은 두께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 방식이 단순해 금형, 사출비용이 일반 사출에 비해 저렴합니다.
단점은 얇은 두께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변형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오뎅탕용기, 식품포장용기, 게또바시라고 부르는 블리스터 트레이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특징
✅ 소량 생산이 가능하여 초기 비용 부담이 적음
✅ 단순한 형상의 제품 제작 가능
✅ 금형 제작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
🔹 활용 분야
🔹 플라스틱 포장 트레이, 자동차 내장재, 의료 기기 커버, 광고용 간판, 전자제품 패널 등
🔹 금형 비용 및 샘플 제작 가능 여부
💰 금형 비용:
- 저렴 (100만 원 ~ 500만 원 수준)
- 복잡한 디자인보다는 단순한 형상에 적합
🛠 샘플 제작 가능 여부:
- 3D 프린팅, CNC 가공, 목형(우드 몰드)으로 샘플 제작 가능
- 최종 양산 전에 플라스틱 시트를 가열하여 테스트 가능
🔎 4가지 성형 방식 비교
성형 방식특징주요 제품금형 비용샘플 제작
사출 성형 | 정밀하고 복잡한 형상 가능 | 전자기기 케이스, 자동차 부품 | 500만 원 ~ 수천만 원 | 3D 프린팅, CNC 가공 |
압출 성형 | 연속 생산 가능, 단순한 형상 | 파이프, 창틀, 전선 피복 | 500만 원 ~ 1,500만 원 | 3D 프린팅, 소규모 금형 |
블로우 성형 | 속이 빈 제품 제작 가능 | 페트병, 연료탱크 | 1,000만 원 ~ 5,000만 원 | 3D 프린팅, 소량 샘플 |
진공 성형 | 저렴한 금형 비용, 소량 생산 가능 | 포장 트레이, 자동차 내장재 | 100만 원 ~ 500만 원 | 3D 프린팅, 목형 가공 |
🔗 마무리: 어떤 성형 방식이 적합할까?
어떤 성형 방식을 선택할지는 제품의 용도, 생산량, 예산, 형상의 복잡성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대량 생산 & 정밀한 제품 필요 → 사출 성형
- 연속 생산 & 단순한 긴 형상 제품 → 압출 성형
- 중공 구조 & 플라스틱 용기 제작 → 블로우 성형
- 소량 생산 & 비용 절감 → 진공 성형
특히 초기 창업이나 신제품 개발 단계에서는 샘플 제작이 용이한 방식을 먼저 선택한 후, 대량 생산으로 전환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이나 문의 주세요! 😊
✔️ 제조공조 블로그에서는 제조업, 창업, 사업 운영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 비즈니스 툴 활용법부터 제품 개발, 공정 개선, 마케팅 전략까지!
✔️ 놓치면 안 될 유익한 정보, 블로그 구독 & 좋아요로 빠르게 받아보세요!
📌 📩 최신 글 알림받기:
👉 [구독 & 좋아요] 버튼 클릭하고 최신 정보를 받아보세요!
📌 댓글로 궁금한 내용 남겨주세요!
👉 노션 & 슬랙 활용법, 제조업 관련 정보 등 원하는 주제를 댓글로 알려주시면 다음 콘텐츠에 반영할게요!
✔️ 당신의 제조 & 창업을 돕는 최고의 파트너, ‘제조공조’!
📌 지금 바로 구독하고 더 많은 정보를 받아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