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을 판매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정 중 하나가 제품표시규정과 바코드입니다.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유통과 판매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죠. 이번 글에서는 제품표시규정의 주요 내용과 바코드 등록 및 활용 방법을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제품표시규정이란?
제품표시규정은 소비자가 제품의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의무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사항을 정한 법적 기준입니다. 한국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다양한 기관에서 제품군별로 세부적인 표시기준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제품에 반드시 포함해야 할 주요 표시 항목
- 제품명: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 명칭
- 제조업체명 및 주소: 제조사 정보 및 연락처
- 제조연월일 또는 유통기한: 유통기한이 있는 제품은 필수
- 재질 및 성분: 화장품, 생활용품, 전자제품 등에서 필수
- 사용 방법 및 주의사항: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사용법 안내
- KC 인증 등 법적 인증 마크: 어린이제품, 전자제품 등은 인증 필수
- 기타 필수 표기사항: 식품, 화장품, 전자제품 등 각 제품군에 따른 추가 표시사항
이러한 내용은 소비자 보호와 신뢰 확보를 위해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과태료 등의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제품 바코드란?
바코드는 제품을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해 부여하는 고유한 번호와 그래픽 코드입니다. GS1코리아에서 관리하는 표준 바코드를 등록하면 전국의 대형마트, 편의점,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원활하게 판매할 수 있습니다.
📌 바코드 등록 방법
- GS1코리아(한국상품바코드협회) 가입
- 공식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사업자 등록증 제출
- 바코드 번호 발급 신청
- 상품에 맞는 바코드 유형 선택 (GTIN-13, EAN-13 등)
- 바코드 생성 및 부착
- 대한상공회의소의 코리안넷(KoreanNet) 표준바코드번호 생성기를 활용하여 바코드 생성 가능
- 생성된 바코드를 디자인에 맞게 삽입하고 테스트 진행
- 유통사 및 쇼핑몰 등록
- 바코드를 등록하면 대형마트, 온라인몰에서 상품 관리 가능
📌 바코드의 종류 및 특징
- GTIN-13: 국제 표준 제품 번호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됨
- EAN-13: 유럽 표준 바코드로, 한국에서도 널리 사용됨
📌 바코드의 장점
- 상품 관리 용이: POS 시스템에서 제품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
- 빠른 결제 가능: 바코드를 찍으면 즉시 제품 정보 확인 가능
- 유통 추적 및 관리: 제품 이동, 재고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
3. 제품 판매 전에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
✅ 해당 제품의 제품표시규정을 확인하고 모든 필수 정보를 기재했는가?
✅ 바코드 등록을 완료하고, 온라인/오프라인 유통사와 호환이 가능한지 테스트했는가?
✅ 제품 라벨 디자인에 법적 필수사항을 모두 포함했는가?
✅ 전문가 검토를 통해 라벨 디자인이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했는가?
📌 법적 필수사항 검토를 위한 전문가 및 사이트
- GS1코리아(https://www.gs1kr.org/): 바코드 등록 및 표준 라벨링 가이드 제공
- 한국표준협회(https://www.ksa.or.kr/): 제품 표시 및 인증 관련 컨설팅 지원
- 식품의약품안전처(https://www.mfds.go.kr/): 식품, 화장품, 의약품 관련 제품표시 기준 제공
- 제품 라벨링 컨설팅 업체: 개별 맞춤형 검토 및 디자인 조언 가능
이러한 점을 꼼꼼하게 점검하면 제품 판매 과정에서 문제를 예방하고 소비자 신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제품을 판매할 때 반드시 필요한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공유하겠습니다. 여러분도 제품 표시와 바코드 등록, 꼭 체크하세요! 😊